강에 하구둑을 설치했을때부터 강이 아니라 호수가 된거야.
하구둑을 설치했을때 생기는 문제중에 하나가, 모래인데,
하구둑 밖으로 흘러가던 모래가 하구둑 앞에 쌓이기 시작하면서, 모래가 쌓인다는거야.
모래와 유기 퇴적물이 쌓이게 되고, 하구둑 밑바닥은 갯뻘이 형성되는거지.
하지만 산소가 고갈하면 죽음의 갯뻘이 되는거야.
6등급 죽음의 호수가 되는거지.
그런데 4대강 강 줄기 중심에 보를 설치하면서, 하구둑의 유입되는 오염물질과 영양염류가 감소되었어.
자체 처리만 할수있다면, 하구둑의 수질을 유지할수있다는거지.
정수시설화 사업을 진행하게 되면, 강이 호수가 되었을때 생기는 모든 문제를 해결할수있게 되는데,
지류 부터 보가 설치되어, 강 상류 부분에서 비가 내려 흘러들어오는 모래, 자갈, 점토, 유기물, 쓰레기등이
지류의 보에 걸려 저장되고, 마지막 이중보를 통해, 영양염류가 걸러지면서, 깨끗한 물만 강 본류로 유입되는거지.
지류에서 준설을 주기적으로 해줘야겠지.
보가 설치되어있지 않았다면 이 모래가 강 본류로 유입되고, 하구둑을 통해서, 바다로 흘러들어갔을꺼야.
하지만 하구둑을 설치하면서, 모래가 밑바닥에 쌓이는거지.
이 모래는 준설토로 건설자재로 사용하면 되는데, 준설토 총량제 도입해서,
지류에서 주기적으로 준설토를 채취해서, 저장하고, 판매까지 하도록 하는거지.
지류는 물이 일시적으로 흐르는곳인데, 이곳에서 모래와, 자갈, 쓰레기, 영양염류를 걸러주게 만드는거야.
강 본류에는 태양광 발전기를 설치하고, 생산된 전기로 산소를 공급하는데,
나노 버블 산소공급기를 500M 마다 1구역을 정해서, 쭉 이어주면서,
강 밑바닥 모래층 -1M ~ -3M에 산소를 계속 공급하는거야.
강 전체 층에 직접 산소를 공급해, 높은 용존 산소율을 유지하는거지.
그 다음 스크린존을 만들어서, 유기 퇴적물, 점토가 쌓이는 퇴적 한계층을 만드는데,
주기적으로 물을 방류할때 스크린에서 초음파 진동기를 사용해서, 모래 사이에 있는 점토를
물에 녹여, 스크린을 통해 배출하면서, 자연 압력에 의해서, 점토가 다시 스크린존으로 들어오도록 하는거지.
이 점토를 회수해서, 하구둑 밖에 방류할수있는데, 그러면 거기가 갯벌이 되는거야.
새만금 제방 앞에 준설토를 부어넣고, 점토를 스크린존에서 회수해서, 주기적으로 방류해, 갯벌을 만드는거지.
결국 4대강 사업은 하구둑을 설치하면서 강이 호수가 되면서 생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한 사업인데,
강 본류에 직접 산소 공급하는것과 지류에서 영양염류를 걸러내는 사업,
강 본류에 유입된 영양염류를 회수할수있는 사업만 추가로 해주는거라고 볼수있어.
큰 틀은 다 잡혀있는거지.
강수량이 증가하면 상류의 댐을 많이 짓고, 지류의 폭을 넓히고, 지류를 준설하면서, 보를 설치하고,
제방을 보강해서, 더 높은 압력에서도 무너지지 않도록 하는게 핵심인데,
저지대같은경우 지하방수로를 만들어서, 침수 피해를 막도록 해야 겠지.
4대강과 보, 댐이 설치된 모든 강에 정수시설화 사업을 하게 되면 호수가 된 강이 1급수가 되고,
초대형 양식장으로 사용할수있는데, 어자원이 500% ~ 1000% 이상 상승할수있어.
강이나 호수 자체가 하나의 정수장이며 양식장이 되는거닌깐,
4대강 보를 해체해서 자연성을 회복하려면 결국 하구둑도 깨야돼,
또 시작이네.
관심주면 계속함.
0/2000자